반응형

설명

FileZilla에서 숨겨진 파일 또는 폴더가 보이도록 설정합니다. 이 설정은 FTP에서만 활성화 됩니다.

 

 

설정방법

아래 이미지의 번호를 순서대로 클릭하여 숨겨진 파일/폴더가 보여지도록 설정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설명

설치후 초기상태의 WinSCP에서 리눅스로 접속하면 숨겨진 파일 또는 폴더가 보이질 않습니다. 특히 홈폴더에 숨겨진 bash 관련 파일이나 ssh 관련 파일이 보이질 않아서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아래와 같은 간단한 설정 추가로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설정방법

WinSCP 화면에서 아래 이미지의 숫자의 순번으로 클릭합니다. 포인트는 ③의 "숨김 파일 표시"를 선택하는 것이며, 즉시 반영을 위해 ④확인을 클릭한후 WinSCP를 다시 시작해 주세요. ("숨김 파일 표시" 옵션이 즉시 반영되었다면, WinSCP를 재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설명

보통 "ssh-keygen" 명령어로 Private/Public Key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한 키는 SSH 자동 로그인이나 SFTP 로그인과 같은 곳에서 사용하는데, SFTP 접속에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따라서 키를 변환해 주어야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Putty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경우가 대표적인데요, Putty를 직접 사용하거나 FileZilla와 WinSCP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FTP에 접속한다면, 사전에 Putty 형식의 Private Key로 변환이 필요하므로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Putty 패키지 설치

리눅스에서 Putty 포멧의 키로 변환하기 위해선 관련 패키지 설치가 필수이므로 패키지 설치를 진행합니다.

### CentOS 8 ###

### EPEL Repository 및 Putty 설치 ###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epel-release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putty


### Ubuntu 20.04 ###

### Putty 설치 ###
root@localhost:~# apt -y install putty-tools

 

 

발급된 키를 Putty 포멧의 키로 변환

패키지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puttygen 명령어로 발급된 "Private Key"를 Putty 포멧의 키로 변환생성합니다.

### CentOS 8 ###

### Generate key for putty format ###
[pfu-tester@localhost ~]$ puttygen ~/.ssh/id_rsa -o ~/.ssh/id_rsa.ppk
[pfu-tester@localhost ~]$ ls -al ~/.ssh/
total 12
drwx------. 2 pfu-tester pfu-tester   62 Nov 24 10:53 .
drwx------. 4 pfu-tester pfu-tester  112 Nov 24 10:52 ..
-rw-------. 1 pfu-tester pfu-tester 2675 Nov 24 10:37 id_rsa
-rw-r--r--. 1 pfu-tester pfu-tester  586 Nov 24 10:37 id_rsa.pub
-rw-------. 1 pfu-tester pfu-tester 2237 Nov 24 10:53 id_rsa.ppk


### Ubuntu 20.04 ###

### Generate key for putty format ###
pfu-tester@localhost:~$ puttygen ~/.ssh/id_rsa -o ~/.ssh/id_rsa.ppk
pfu-tester@localhost:~$ ls -al ~/.ssh/
total 20
drwx------ 2 pfu-tester pfu-tester 4096 Nov 24 02:23 .
drwxr-xr-x 4 pfu-tester pfu-tester 4096 Nov 24 02:23 ..
-rw------- 1 pfu-tester pfu-tester 2655 Nov 24 02:17 id_rsa
-rw-r--r-- 1 pfu-tester pfu-tester  574 Nov 24 02:17 id_rsa.pub
-rw------- 1 pfu-tester pfu-tester 2070 Nov 24 02:23 id_rsa.ppk

 

반응형
반응형

설명

리눅스에서 Apache나 FTP를 설치하면 메뉴얼로 HTML 형식의 파일을 제공합니다. cat과 같은 명령어로 적당히 내용을 살펴볼수도 있지만, 터미널 환경에서 HTML 파일을 제대로 보고 싶을 때 사용하는 LYNX 명령어를 소개합니다.

 

 

설치

### CentOS 8 ###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lynx

### Ubuntu 20.04 ###
root@localhost:~# apt -y install lynx

 

 

사용방법

LYNX 패키지를 설치하였다면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cat 명령어를 사용 하듯이 "LYNX + HTML 파일"과 같은 형식으로 HTML 파일을 열어보면 됩니다. 결과는 텍스트 베이스의 브라우저에서 보는 것과 비슷하게 보이며 가독성은 괜찮은 편입니다.

 

### CentOS 8 ###
[root@localhost ~]# lynx /usr/share/doc/proftpd/modules/mod_auth.html

### Ubuntu 20.04 ###
root@localhost:~# lynx /usr/share/doc/proftpd-doc/modules/mod_auth.html

 

반응형
반응형

설명

리눅스의 파일 및 폴더의 기본 퍼미션이 다르므로 특정 폴더의 하위 폴더와 파일의 퍼미션을 일괄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퍼미션 일괄 변경은 파일 및 폴더의 갯수에 따라서 컴퓨터 또는 스토리지의 퍼포먼스를 저하시킬수 있으므로 작업전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특정 폴더의 모든 파일 퍼미션 변경

/data/nfs 폴더에 포함된 모든 파일의 퍼미션을 644로 변경하는 명령어 구문입니다.

[root@localhost ~]# find /data/nfs -type f -exec chmod -v 644 {} \;

 

 

특정 폴더의 모든 하위폴더의 퍼미션 변경

/data/nfs 폴더에 포함된 모든 하위 폴더의 퍼미션을 755로 변경하는 명령어 구문입니다.

[root@localhost ~]# find /data/nfs -type d -exec chmod -v 755 {} \;

 

 

반응형
반응형

설명

생성된 파일이나 폴더의 퍼미션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지만, 앞으로 생성될 파일이나 폴더의 퍼미션을  미리 설정하는 명령어는 umask입니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파일이나 폴더를 업로드하는 프로토콜인 FTP와 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페이지에서는 숫자조합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UMASK 형식

chmod 명령어는 숫자조합(421)으로 퍼미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umask도 비슷하게 숫자조합으로 생성될 파일이나 폴더의 퍼미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chmod 명령어와 다른 점이 있는데,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 퍼미션인 666(파일)과 777(폴더)에서 특정 숫자조합(기본값 022)을 빼주는 형식으로 파일 및 폴더의 퍼미션을 설정합니다. 아래에서 간단한 예를 들었는데요, umask 명령어로 생성될 파일 및 폴더의 퍼미션을 022로 지정한면, 그 영향으로 파일과 폴더의 기본 퍼미션은 644와 755로 바뀌게 됩니다. 이것이 우리가 리눅스를 처음 설치하고 파일이나 폴더를 생성하면 퍼미션이 644와 755로 보이는 이유입니다.

 

###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 퍼미션 ###
파일 : 666
폴더 : 777

### UMASK로 퍼미션 조절 ###
[root@localhost ~]# umask 022

### UMASK로 퍼미션 조절한 결과 ###
파일 : 666 - 022 = 644
폴더 : 777 - 022 = 755

 

umask 명령어에서 사용하는 숫자조합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이 각 숫자는 특성을 갖습니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FTP와 같이 신규 파일이 업로드되는 서비스에서 효과적으로 생성되는 파일 및 폴더의 퍼미션을 조절할수 있습니다.

 

### umask 숫자별 퍼미션 ###
0 : 읽기(r) / 쓰기(w) / 실행(e)
1 : 읽기(r) / 쓰기(w)
2 : 읽기(r) / 실행(e)
3 : 읽기(r)
4 : 쓰기(w) / 실행(e)
5 : 쓰기(w)
6 : 실행(e)
7 : 퍼미션 없음

 

 

UMASK 변경

umask를 변경하는 것은 "umask 022"와 같이 간단한 명령 구문으로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현재의 umask 설정값을 확인할수도, 새로운 값으로 설정할수도 있습니다. 다만, "umask 000"와 같은 설정은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퍼미션을 허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상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umask 현재 설정 확인 ###
[root@localhost ~]# umask
0022

### umask 설정 변경 ###
[root@localhost ~]# umask 024
반응형
반응형

설명

리눅스 환경에서 wget 명령어로 https 접속 또는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인증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대처법을 알아봅니다.

 

 

에러 메세지

DEBUG output created by Wget 1.19.5 on linux-gnu.

Reading HSTS entries from /root/.wget-hsts
URI encoding = ‘UTF-8’
Converted file name 'index.html' (UTF-8) -> 'index.html' (UTF-8)
--2021-11-09 11:29:43-- https://DOMAIN/
Certificates loaded: 143
Resolving DOMAIN (DOMAIN)... xxx.xxx.xxx.xxx
Caching DOMAIN => xxx.xxx.xxx.xxx
Connecting to DOMAIN (DOMAIN)|xxx.xxx.xxx.xxx|:443... connected.
Created socket 3.
Releasing 0x000055e370123100 (new refcount 1).

ERROR: The certificate of ‘DOMAIN’ is not trusted.
ERROR: The certificate of ‘DOMAIN’ hasn't got a known issuer.

 

 

대응방법 (루트 인증서 설치)

루트 인증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갱신되지 않아서 인증서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루트 인증서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 CentOS 7/8 ###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ca-certificates
or
[root@localhost ~]# dnf -y update ca-certificates

 

### Ubuntu 20.04 ###

root@localhost:~# apt -y install ca-certificates
or
root@localhost:~# apt -y upgrade ca-certificates

 

 

대응방법 (--no-check-certificate 옵션)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굳이 인증서 확인이 필요 없다면 아래와 같이 인증서 확인을 무시하는 옵션을 포함하여 wget을 실행합니다.

[root@localhost ~]# wget --no-check-certificate https://DOMAIN/

 

 

대응방법 (인증서 재발급)

흔치 않는 경우지만, 가끔 인증서 갱신에서 중간 인증서와 루트 인증서 정보가 누락된채 발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인증서는 브라우저에서는 문제없이 동작할수도 있지만, wget과 같은 명령어에서는 인증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openssl 명령어로 간단히 확인할수 있습니다. 아래는 정상적인 depht와 chain 정보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root@localhost ~]# openssl s_client -connect www.daum.net:443
CONNECTED(00000003)

depth=2 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G2
verify return:1
depth=1 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Thawte TLS RSA CA G1
verify return:1
depth=0 C = KR, ST = Jeju-do, L = Jeju-si, O = Kakao Corp., CN = *.daum.net
verify return:1

---
Certificate chain
0 s:C = KR, ST = Jeju-do, L = Jeju-si, O = Kakao Corp., CN = *.daum.net
   i: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Thawte TLS RSA CA G1
1 s: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Thawte TLS RSA CA G1
   i: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G2
2 s: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G2
   i: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G2
---

 

반대로 아래는 서버 인증서 만 존재할뿐, 중간(체인) 인증서 및 루트 인증서 정보가 없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wget과 같은 명령어로 https 프로토콜에 접속할 경우 인증서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신속하게 인증서를 재발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root@localhost ~]# openssl s_client -connect DOMAIN:443
CONNECTED(00000003)

depth=0 C = US, ST = California, L = Campbell, O = xxx CN = DOMAIN
verify error:num=20:unable to get local issuer certificate
verify return:1
depth=0 C = US, ST = California, L = Campbell, O = xxx CN = DOMAIN
verify error:num=21:unable to verify the first certificate
verify return:1

---
Certificate chain
0 s:C = US, ST = California, L = Campbell, O = xxx CN = DOMAIN
   i:C = US, O = DigiCert Inc, CN = DigiCert TLS RSA SHA256 2020 CA1
---

 

반응형
반응형

설명

보통 기본 언어가 한글이 아닌 윈도우에서 표시언어를 한글로 변경한 후, Command Prompt와 Powershell를 사용하면 한글깨짐 현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대처법을 알아 봅니다.

 

 

 

현상

아래 첨부 이미지는 영문 Windows Server 2019를 다운로드 받아서 표시언어를 한글로 변경한후, Command Prompt에서 sconfig 명령을 실행한 결과물입니다.

 

 

해결방법(UI)

아래 아미지와 같이 윈도우 시작 아이콘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 실행(R)을 이어서 클릭합니다. 이후 intl.cpl을 입력후 실행합니다. 

국가 또는 지역 팝업창에서 "관리자 옵션" > "시스템 로캘 변경" 순으로 클릭합니다. 이어서 실행되는 지역 설정 팝업창에서 현재 시스템 로캘을 "한국어(대한민국)"으로 변경한후 "확인"을 클릭하고, 컴퓨터가 재시작되면 변경된 시스템 로캘이 적용되어 한글깨짐 현상이 해결됩니다. ("Beta: 세계 언어 지원을 위해 Unicode UTF-8 사용"을 선택할 경우 한글 폰트가 변결될수 있습니다)

 

 

해결방법(Powershell)

파워쉘에서 "Get-WinSystemLocale"로 현재 시스템 로캘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어서 "Set-WinSystemLocale -SystemLocale ko-KR"로 시스템 로캘을 영어에서 한국으로 변경하고, "Restart-Computer"로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컴퓨터가 재시작된후 시스템 로캘이 영어에서 한국어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