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캡처 툴(snipping tool)은 OS 설치와 함께 설치되지 않으므로, 필요한 경우 데스크톱 경험(Desktop Experience) 기능을 추가하여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는 아래 그림을 따라서 진행합니다.

 

 

1. 서버 매니저(Server Manager)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를 실행합니다.

 

2.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Add Roles and Features Wizard) 시작

 

3.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Role-based or feature-based installation)

 

4. 서버 풀에서 서버 선택(Select a server from the server pool)

 

5. 기능 선택 화면에서 데스크톱 경험(Desktop Experience) 선택 및 설치

 

6. 데스크톱 경험(Desktop Experience)의 설치가 완료되면, 재기동 후 사용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Ubuntu 16


설정파일 : /etc/network/interfaces


고정 IP로 설정할 인터페이스를 확인후, 아래 내용과 같이 관련 네트워크 정보를 추가해 줍니다.


# interfaces(5) file used by ifup(8) and ifdown(8)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np0s31f6

iface enp0s31f6 inet static

    address 192.168.0.100

    netmask 255.255.255.0

    network 192.168.0.0

    broadcast 192.168.0.255

    gateway 192.168.0.1

    dns-nameservers 8.8.8.8 192.168.0.1

    dns-domain domain.com

    dns-search domain.com


root@localhost:~$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ing





Ubuntu 18


설정파일 : /etc/netplan/.yaml


초기 설치 후 해당 폴터에서 확장자가 "yaml"인 파일을 열어서 설정합니다.


# This file is generated from information provided by

# the datasource.  Changes to it will not persist across an instance.

# To disable cloud-init's network configuration capabilities, write a file

# /etc/cloud/cloud.cfg.d/99-disable-network-config.cfg with the following:

# network: {config: disabled}

network:

    ethernets:

        enp0s31f6:

            addresses: [192.168.0.100/24]

            gateway4: 192.168.0.1

            nameservers:

                addresses: [8.8.8.8,192.168.0.1]

            dhcp4: no

    version: 2


root@localhost:~$ sudo netplan apply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wall-cmd --new-service  (0) 2020.10.08
[BIND] CentOS 7에서 DNS 설치  (0) 2020.07.17
CURL 또는 LYNX로 웹 사이트의 헤더 정보 확인하기  (0) 2019.07.02
Linux tar  (0) 2019.06.26
Change the time zone on Linux  (0) 2018.11.07
반응형

1. 개요


OS 설치 단계에서 설정한 타임존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2. 명령어


[root@node ~]# date

Wed Nov  7 06:28:32 UTC 2018


[root@node ~]#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root@node ~]# date

Wed Nov  7 15:29:16 KST 2018

※ 상기 ln 명령어를 실행하면 바로 타임존이 변경되므로, 타임존 변경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3. 참고


타국 또는 다른 도시로 타임존 설정이 필요한 경우, "/usr/share/zoneinfo/" 폴더의 내용을 참조하여 변경할 수 있다.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wall-cmd --new-service  (0) 2020.10.08
[BIND] CentOS 7에서 DNS 설치  (0) 2020.07.17
CURL 또는 LYNX로 웹 사이트의 헤더 정보 확인하기  (0) 2019.07.02
Linux tar  (0) 2019.06.26
Ubuntu 고정 IP 설정  (0) 2019.02.07

+ Recent posts